명령어정리
-
Linux 명령어 정리, Vi 편집하기CS/Linux 2023. 8. 16. 23:34
¶ Vi 란? 리눅스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화면 편집기이다. 명령이 매우 단순하여 빠르게 편집할 수 있어서 널리 사용된다. Vi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명령 모드, 입력 모드, 마지막 행 모드로 구분된다. 명령 모드: 커서의 이동이나 텍스트 삭제 같은 명령으로 해석되어 실행 입력 모드: 보통의 편집기처럼 텍스트로 입력 마지막행 모드: 커서가 화면의 맨 하단으로 이동하여 특별한 명령을 사용할 수 있는 모드 ▶ vi : 지정한 파일을 편집, 파일을 지정하지 않으면 빈 파일이 열리고 이 빈 파일의 이름은 별도로 정할 수 있음 vi vi test.txt ▶ vi의 저장과 종료 명령키 모드 명령 키 기능 마지막 행 모드 :q vi에서 작업한 것이 없을 때 그냥 종료 :q! 작업한 내용을 저장하지 않고 강제 종료 ..
-
Linux 명령어 정리, 기초 명령어 + 디렉터리와 파일 사용하기CS/Linux 2023. 8. 16. 21:15
¶ 기초 명령어 ▶ date : 현재 날짜와 시간을 출력 date ▶ clear : 화면을 지움 clear ▶ man : 명령 사용법을 화면에 출력, 명령의 옵션이나 인자 등 명령 사용법을 자세히 알고 싶을 때 매우 유용 man clear (clear 명령의 자세한 사용법을 알고 싶을 때) ▶ passwd : 사용자의 계정의 비밀번호를 변경 passwd (인자없이 명령만 사용하면 로그인한 계정의 비밀번호를 바꿀 수 있음) ▶ exit : 터미널 종료 exit ▶ Ctrl + d : 터미널 종료 ^d ¶ 디렉터리 ▶ pwd(print working directory) : 현재 위치를 확인. 즉, 현재 디렉터리의 절대 경로명을 출력 pwd ▶ cd(change directory) : 지정한 디렉터리로 이동 ..
-
Git Commit 변경 명령어 정리CS/Git 2023. 6. 29. 02:12
① Git Commit --Amend git add sample.txt (새로 Commit할 변경된 파일을 지정, 다시 add 시켜줌) git commit --amend git commit --amend -m "Commit Message" (Commit Message를 변경시키고 싶을 때 사용하는 옵션) git push -f (Local과 원격 저장소의 Commit History가 다른 걸 맞춰주기 위해서는 강제로 push할 필요가 있음, 원격 저장소에서 force push를 금지해 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음) 같은 Branch상에서 마지막에 Commit한 내용을 덮어쓰기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. 명령어 입력과 동시에 터미널이 vi편집 모드로 들어가게 된다. 출력된 내용을 편집하여 :wp 입력하고 빠..
-
Git Branch 개념설명및 명령어 정리CS/Git 2023. 6. 28. 22:18
¶ Branch 란?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에 개발자들은 동일한 소스코드를 함께 공유하고 다루게 된다. 동일한 소스코드 위에서 어떤 개발자는 버그를 수정하기도 하고 또 다른 개발자는 새로운 기능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. 이와 같이 여러 사람이 동일한 소스코드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작업을 할 때에는 각각 서로 다른 버전의 코드가 만들어 질 수 밖에 없다. 이럴 때, 여러 개발자들이 동시에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게 만들어 주는 기능이 바로 'Branch'이다. 각자 독립적인 작업 영역(저장소) 안에서 마음대로 소스코드를 변경할 수 있다. 이렇게 분리된 작업 영역에서 변경된 내용은 나중에 원래의 버전과 비교해서 하나의 새로운 버전으로 만들어 낼 수 있다. 한마디로 독립적으로 어떤 작업을 진행하기 위한 개념이다..
-
Git 초기설정및 명령어 정리CS/Git 2023. 6. 19. 08:29
¶ 처음 시작하기 ① Github 계정 생성하기 ② Github에 사용할 Repository 생성하기 ※ 'README.md' 이란? 프로젝트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가이드라고 보면 된다. ※ '.gitignore' 이란? 원격 저장소에 올리지 않을 파일 설정하는 파일(예시 - 가상환경 폴더) ③ Local PC에 Git 설치하기 링크(https://git-scm.com/)에 접속해서 로컬 환경(Windows/Mac)에 맞게 Download 받기 ④ 터미널 창에서 Git 설치 확인하기 git --version 잘 설치되었다면 Git의 버전이 출력된다. ⑤ 사용자 인증 정보 설정하기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email@email.com" git config --glob..